교육연구팀장을 중심으로 창의적 전문 연구인력양성 및 연구를 수행하며, 원활한 팀 운영을 위하여 연구팀(행정담당 간사, 연구교수, 박사후과정생, 혹은 석박사통합과정생)를 두어 운영한다.
본 교육연구팀은
설계 및 해석 분야(김창완교수: CAE(유한요소해석법, 다물체동역학), 최적설계),
제어 및 공정 분야(이창우 교수: 스마트생산제조시스템),
첨단 자동차/플랜트 센서 분야(이동진교수: M/NEMS, Nanomaterial, Nanotechnology),
바이오/헬스케어 분야(김성진교수: 유체소자 및 제어)
의 연구실팀을 각각 구성하며, 각 연구실팀은 연구실 운영과 연구성과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 및 기획을 수행한다. 매 년마다 본 연구팀 심포지움 개최를 통하여 계획 대비 실적을 평가 분석한다.
설계 및 해석 분야(김창완교수: CAE(유한요소해석법, 다물체동역학), 최적설계),
제어 및 공정 분야(이창우 교수: 스마트생산제조시스템),
첨단 자동차/플랜트 센서 분야(이동진교수: M/NEMS, Nanomaterial, Nanotechnology),
바이오/헬스케어 분야(김성진교수: 유체소자 및 제어)
의 연구실팀을 각각 구성하며, 각 연구실팀은 연구실 운영과 연구성과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 및 기획을 수행한다. 매 년마다 본 연구팀 심포지움 개최를 통하여 계획 대비 실적을 평가 분석한다.
비전 달성을 위한 팀 구성
교육연구팀은 팀구성 교수 간에 목표 달성을 위한 상호 협력관계는 다음과 같다.
- 생산시스템 제어 및 공정 분야 : 이창우 교수와 공동연구를 수행함
- 대면적 인쇄 및 코팅 공정 기술
- 대면적 생산시스템과 다층소자의 생산 기술
- 대면적 생산시스템의 장력제어, 레지스터 제어, 정밀 인쇄 기술
- 생산시스템 분야 설계 및 해석 분야 : 김창완 교수와 공동 연구를 수행함
- 대면적 생산시스템의 설계
- 대면적 생산시스템의 전산 해석 기술
- 첨단 자동차/플랜트 센서 분야 : 이동진 교수와 공동 연구를 수행함
- 환경 및 동작 센서와 연동한 운전자 환경 제어
- 극한 환경 (고온, 저온, 물리적 충격)조건에서의 자동차용 센서 구조 설계
- 초음파 IoT 센서를 활용한 비접촉 유량 센서
- 기계시스템에서 에너지 수확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센서 구동
- IoMT (internet of medical things) 센서를 활용한 커뮤니티 헬스케어
- 바이오/헬스케어 분야 : 김성진 교수와 공동연구를 수행함
- 바이오칩 기반 미세유체 제어 기술
- 신체 부착형 센서 기반 생체 신호 측정 및 처리 기술
- 하이드로겔 기반 온도 감응형 센서 및 구동부 시스템
- 소프트로봇용 유연성 물질 기반 압력 센서 기술
운영계획
운영위원회
- 본 교육연구팀 시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, 의결하기 위하여 운영위원회를 둔다.
- 운영위원회는 소속 교육연구팀장 및 전임교원으로 구성하며, 위원장은 교육연구팀장이 겸임한다. 운영위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심의, 의결한다.
- 교육연구팀의 주요 사업 계획
- 계약교수 및 박사후과정생의 채용에 관한 사항
- 대학원생의 선발에 관한 사항
- 배당된 교육연구팀의 공간 및 기자재의 배정에 관한 사항
- 기타 BK 교육연구팀 운영에 관련된 중요 의결 사항
외부 및 자체평가단
본 팀의 연구 방향과 유사한 전공으로 구성된 외부평가단을 구성한다. 자체 평가단은 연구팀장과 각 팀장으로 구성되며, 연구팀의 운영과 연구성과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 및 기획을 수행한다.
행정지원팀
본 사업 팀의 모든 행정업무를 수행할 공간을 기계설계학과 대학 내에 확보하며, 행정업무를 담당할 1명의 행정요원을 선발하여 본 사업 팀의 예산집행 및 관리 등의 모든 행정을 지원한다.
대학원
대학원은 기계설계학과 대학원생들에 대한 팀 티칭 및 기타 필요한 여러 제반 사정을 지원 운영하며, 행정 지원팀의 행정요원이 수강신청 및 강의 내용 조정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