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연구팀의 비전과 목표
비전
본 사업팀은 미래형 센서 및 초정밀 대면적 생산시스템에 대한 산학연계 교육/연구 및 소재-부품-장비를 연계한 융합 교육/연구 체계를 확립하여, 창의 (Creativity), 도전 (Challenge)와 실용 (Practical)의 균형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하고자 함.
목표: 미래형 센서를 위한 초정밀 대면적 생산시스템 전문 인력 양성
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“초정밀 대면적 생산시스템 기술”에 기반하여 첨단 자동차, 스마트팩토리, 바이오/헬스케어, 로봇 분야 등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“미래형 센서”에 대한 소재-부품-장비 기술을 연계하는 글로벌 융합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함.

사업팀 교육, 연구 및 국제화 목표
교육연구팀 교육, 연구 및 국제화 목
본 연구팀은 아래와 같은 교육 및 연구 목표를 가지고 인재 양성 교육에 매진하고, 미래형 센서와 생산시스템의 설계, 해석, 제어 및 제작에 대한 특화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. 또한, 본 연구팀의 국제화 목표는 글로벌 공동 교육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계공학 인재 양성임.
교육목표
- 미래형 센서의 설계, 해석 및 제작 전문 교육
- 초정밀 대면적 공정 스마트 생산시스템 제어 및 해석 전문 교육
- 부품-장비 융합 교육 (소재 교육은 재료 관련 학과 연계 교과목 활용 예정)
- 이를 위해, 학술 (미래형 센서, 생산시스템) 트랙과 산학협력 트랙의 두 종류의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. 즉,
- 전통적인 기계공학에 대한 심도 있는 강의와 실험 실습, 산학과제 참여를 학위과정에 반영한 트랙을 운영함. 산학협력 트랙은 특히 산업체 인사의 학위과정 논문지도 참여를 유도함.
-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융합 지식 교육을 위해서 신소재공학과, 유기나노시스템공학과, 화학공학과에 개설된 교과목 (전자재료, 무기전자재료, 유기전자재료및소자, 복합소재공학, 바이오소재특론, 의료용소재, 광학재료, 나노재료특론 등)을 활용하고자 함. 특히, 소재 관련 과목은 연계 전공 제도를 통하여 타 학과/연구분야 교수의 지도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융합기술 전문성을 지닐 수 있도록 함.
- 미래형 센서와 관련한 소재, 부품, 장비를 통합한 융합 교육을 통해 여러 전공 간의 교류를 촉진시키고자 함.
- 이를 위해, 학술 (미래형 센서, 생산시스템) 트랙과 산학협력 트랙의 두 종류의 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. 즉,
연구목표
- 미래형 센서의 설계 해석 및 제작 방식에 관한 핵심기술 연구
- 센서 제작용 스마트 생산시스템의 공정 해석 및 시스템 제어 전문기술 연구
- 소재 기술을 접목한 미래형 센서 부품-생산시스템 장비 연계 융합 연구
- 이를 위해,
- 기 구축된 교내의 스마트팩토리와 연속공정연구센터 (FDRC)를 중심으로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 연구가 융합된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자 함.
- 본 교육연구팀이 지향하는 교육과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계적 수준인 Stanford 대학교, Illinois 대학교, Purdue 대학교, Texas 주립대학교 기계공학부의 교육과 연구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연구 추진에 대한 전략을 수립함.
- 동시에 산업체와 산학과제 참여를 학위과정에 반영하여 기업의 수요
- 이를 위해,
국제화 목표
- 국제 수준의 연구역량을 갖춘 리더 연구자 양성
- 지속 가능한 장/단기 국제 공동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운영
-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끌 수 있는 소통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
- 이를 위해, 본 사업팀은 각 트랙의 우수한 대학원생의 해외학술대회 지원, 해외 연구실과의 공동연구를 위한 중단기 해외연수 지원을 하여 국제적인 감각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.

사업팀 교육 및 연구목표 달성방안